1. 서울특별시 용산구 도시재생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지정(안) |
사업개요 |
|
위 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3가 23-1번지 일원(13,963㎡) 현 황: 일반상업지역, 용산전자상가 도시재생활성화지역 * 도시계획시설 : 도로, 유수지, 유통업무설비, 자동차정류장 등 기결정 사업비: 5,927억원 (’20~, 준공후 30년 위탁운영) * 국비 250, 지방비 375, 공기업 3,524, 기금 1,778 시행자: LH, 서울시 내 용: 도시재생을 위한 신산업앵커시설 및 주민지원시설, 주거지원을 위한 신혼희망타운 및 청년주택 공급, 국방부 및 비축청사, 판매시설 및 오피스텔 연계 복합개발추진 |
|
|
|
핵심사업 |
|
신산업앵커시설 : 8.5천㎡(12층) / 21년(착공) 및 24년(입주) / 입주공간, 공유공간, 지원시설 등 / 입주공간:시세60%임대, 기타:무상임대 신혼희망타운(분양) : 8.4천㎡(120호), 청년주택(임대) : 13.9천㎡(280호)(청년주택 100호 추가검토) 기타시설 : 국방부 등 공공청사(16천㎡), 주민지원시설(2.3천㎡) 등 |
|
|
|
사업시행 및 기대효과 |
|
국·공유지 위탁개발 방식으로 수탁자(LH)의 재원으로 개발 후 운영수입으로 사업비 회수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40조에 따라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도심산업 생태계 회복 및 창업 지원을 통한 일자리창출 기여, 신혼희망타운 및 청년주택 공급을 통한 주거복지 달성, 국방부 시설 이전으로 온전한 공원사업 추진 |
|
|
|
사업계획도 |
|
|
|
|
참고 |
|
도시재생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지정 위치도 |
2. 경기도 고양시 도시재생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지정(안) |
|
|
|
|
사업개요 |
|||
위 치: 경기도 고양시 성사1동 394번지 일원(12,355㎡) 현 황: 제2종일반주거지역 및 자연녹지지역, 원당공영환승주차장, 행정복지센터 사업비: 2,525억원(’20~’24, 준공 후 8년 이상 리츠운영 후 청산) * 국비 250, 지방비 167, 자체지방비 363, 민간 484, 기금 1,261 시행자: ㈜고양성사 혁신지구 재생사업 위탁관리 부동산투자회사(리츠) 내 용: 공공·행정·산업·교육·상업·문화·주거기능 및 생활SOC 등 입체·복합화 |
|||
|
|||
단위사업 |
|||
복합환승시설: 99.5천㎡(12F), 산업, 행정, 교육, 주차장, 상업 / ‘24년 준공 / 임대 - 산업행정 26천㎡(영상문화기업, 청년창업 등), 교육연구 21천㎡(폴리텍대학 등), 환승주차장 21천㎡(524면), 생활SOC 7천㎡(도서관 등), 문화·상업시설 17천㎡(영화관, 판매) 공동주택: 21천㎡(25F, 전용 49㎡ 204세대) / ’24년 준공 / 8년 임대후 분양 |
|||
|
|||
사업시행 및 기대효과 |
|||
리츠사업으로서 “고양시, LH, 고양도시관리공사, 주택도시기금”이 협력하여 추진 지역산업(영상·문화) 활성화 및 청년·신혼부부·1인 가구 등 주거취약계층을 위한 저렴한 임대주택 공급 가능 본 사업을 통해 1,322명 취업, 5,923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주민수요를 반영한 생활SOC 설치로 체감도향상 등 사회적 효과 예상 |
|||
|
|||
사업계획도 |
|||
|
|
||
|
3. 충청남도 천안시 도시재생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지정(안) |
|
|
|
|
사업개요 |
|||
위 치: 충청남도 천안시 와촌동 106-17번지 일원(15,215㎡) 현 황: 일반상업지역 *주차장, 지구대, 버스 및 택시 환승시설, 철도시설로 이용 사업비: 1,886억원(’20~’24) * 국비 206, 지방비 137, 자체지방비 및 공기업 98, 민간 503, 기금 942 시행자: ㈜천안역세권 혁신지구재생사업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리츠) 내 용: 철도 복합환승센터를 중심으로 주거, 상업, 산업, 공공기능이 복합된 입체적 공간 조성 |
|||
|
|||
단위사업 |
|||
복합환승센터 : 38천㎡(5F) / 주차장 32천㎡(2∼5F, 환승주차장 375면), 생활SOC 5천㎡ (1∼3F), 상업시설 1천㎡(1∼3F) / 24년 준공 / 임대 주상복합 : 35천㎡(29F) / 공동주택 25천㎡(4∼29F, 전용 49㎡·59㎡·84㎡ 196세대) 상업시설 10천㎡(1∼3F) / 24년 준공 / 분양 지식산업센터 : 46천㎡(23F) / 업무시설 45천㎡(2∼23F), 상업시설 1천㎡(1F) / 24년 준공 / 분양 |
|||
|
|||
기대효과 |
|||
천안시, LH, 코레일, 주택도시기금의 공동 리츠설립을 통해 안정적 사업운영 * 기금 출ㆍ융자(50%), 지자체 현물출자(5%), 재정지원액 등으로 재원조달 및 사업안정성 확보 복합기능 지역거점 조성을 통한 도시활성화 및 안전한 주거, 안정된 일자리, 편리한 기반시설(철도 환승센터) 및 공공서비스 제공으로 삶의 질 및 도시활력 제고 혁신지구 조성을 통해 1,622명 취업 및 3,966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 기대 * 생산유발효과 2,272억원, 수입유발효과 55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639억원 |
|||
|
|||
사업계획도 |
|||
|
|
||
|
4. 경상북도 구미시 도시재생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지정(안) |
사업개요 |
|
위 치: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 249번지 일원 (26,660㎡) 현 황: 일반공업지역·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 사업비: 2,091억원(’20~’23) * 국비 250억원, 지방비 167억원, 자체지방비 628.5억원, 기금융자 1,045.5억원 시행자: 구미시 내 용: 1,000여개 뿌리산업기반 부품소재 제조기업의 산업생태계 회복을 통해 국가최초 융합형 제조특화산업단지 구축 |
|
|
|
핵심사업 |
|
산업융복합클러스터: 연면적 30,000㎡, 사업비 559.5억원 / 기업혁신 비즈니스센터, 입주기업 오피스, 컨벤션 제조창업 매칭 플랫폼 : 연면적 26,850㎡, 사업비 401.5억원 / 공공챌린지공장, 공공오피스텔, 창업기업 오피스 산업문화 주거 복합화 : 연면적 27,480㎡, 사업비 470.9억원 / 산업도서관 라키비움, 산단어울림센터, 보육시설, 행복주택, 숙박시설, 상업시설, 공공주차장 |
|
|
|
사업시행 및 기대효과 |
|
사업구조 : 구미시 / 단독시행, 공공기관 및 민간 투자유치 (토지 선매입 후 사업추진) 일자리 창출 : 공단 내 50여개 기업의 시제품 생산시스템 협업으로 가동률 향상 및 신산업 전환기회 제공을 통한 300명 규모 일자리 창출, 130개 창업보육을 통해 260명, 오피스, 숙박 및 상업시설, 산업도서관, 어울림센터 등 약 2000명 규모 일자리 창출 주거복지 : 창업청년주택 약100호, 공유오피스텔 약120호의 근로자 주거공간 제공, 570여명의 인구유입 효과 생활SOC : 300대 규모 공용주차장 조성으로 주변 주차문제 해결, 혁신지구 내 지상, 옥상을 활용한 문화생활공원 조성을 통해 근로자·창업주택 거주자의 생활만족도 향상 |
|
|
|
사업계획도 |
|
|
|
|
5. 인천광역시 동구 도시재생 사업 선정(안) |
||
사업개요 |
||
위 치: 사업비: 내 용: |
인천광역시 동구 중앙로 82 일원(79,797.5㎡) 2,132억원(’20~’24년) *국비 150, 지방비 150, 공기업 341, 기타(민간 등) 1,491 인천 동인천역 일대 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핵심(거점)사업이 필요하여, |
|
|
||
단위사업 |
||
거점사업: 중앙시장 융·복합재생: 문화융합창작소: 공동체 활성화: |
송현자유시장 복합거점 (전망대, 주거 및 상업시설 등) 북광장 복합거점 (청년주거, 복합문화시설, 공영주차장 등) 순환형 임대상가, 특화가로 조성 및 리모델링, 창업지원 등 문화융·복합 체험공간, 청년주거 및 지원시설 조성 등 도시재생아카데미, 마을기업 육성, 도시재생거버넌스 운영 등 |
|
|
||
기대효과 |
||
거점개발과 지역재생을 통한 청년층 정주인구 및 방문객 증가, 지역 활성화 송현자유시장(안전D등급) 정비로 안전문제 해소, 저이용 국·공유지 복합 활용 순환형 개발을 통한 원주민 보호, 전통시장 활성화 및 지역정체성 보전 |
||
|
||
사업계획도 |
||
|
|
|
|
6. 부산광역시 서구 도시재생 선도지역 지정(안) |
||
|
||
사업개요 |
||
위 치: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2동 94-78번지 일원(71,300㎡) 사업비: 243억원(’20~’25) *국비 100 지방비 100, 자체지방비 5 기타(공기업 및 부처연계 등) 38 내 용: 산복도로변(남부민1·2동) 급경사지 노후·불량 노후 밀집 주거지에 테라스형 공공임대주택 조성, 노후주택정비, 부족한 기초생활 인프라를 확충하여 주거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주민주도마을 조직을 확장하여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및 공동체 활성화 기대 |
||
|
||
단위사업 |
||
주거지재생사업: 공공임대주택, 순환형 임대주택, 집수리, 자율주택정비 지원 등 주거정비 마을환경개선사업: 부산 도심 숲 탐방 플랫폼, 샛디 24시 마을지킴이 사업, 마을 보행길 정비 공동체회복사업: 현장지원센터 운영, 샛디마을 감리단 운영, 24시 프로젝트 |
||
|
||
기대효과 |
||
경사주거지 산복마을에 순응한 새로운 주거 모델 확산 유도 및 재정착률 상승 노후주택 정비, 기초생활 인프라 확충 등 으로 인한 주민 삶의 질 향상 및 안전 등 생활환경 개선 주민주도마을조직 확장, 일자리 창출, 지역공동체 활성화 |
||
|
||
사업계획도 |
||
|
7.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시재생인정사업 계획(안) |
사업개요 |
||
위 치: 사업비: 내 용: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 2365번지 일원 (2,754㎡) 655억원(’20~’22년) *국비 50, 지방비 75, 공기업 등 530 대상지는 1970년 건립된 노후·불량 건축물로 주민 자체적으로 정비사업을 추진코자 하였으나, 세입자문제 등 주민갈등으로 미 추진된 지역으로, 2017년도 재난안전 E등급 지정에 따라 안전 문제 심각
이에 따라, 공공이 주도하여 도시재생인정사업과 연계, 세입자를 위한 대책을 수립하여 생활공동체를 유지하고 젠트리피케이션을 방지하는 정비사업 실현 |
|
|
||
사업세부내용 |
||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주거세입자 대책 수립: 상가세입자 대책 수립: 공동체 활성화: |
영진시장 A동 정비사업(공공분양, 공공임대, 상가 및 오피스텔) 이주자금 지원, 재개발 후 공공임대주택 우선 입주권 부여 임시이주상가 및 재개발 후 공공임대상가 우선 입주권 부여 공공체육시설, 창업지원센터, 주민공동협의체 지원 등 |
|
|
||
기대효과 |
||
공공이 주도하여 안전우려 건축물의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기본권인 안전을 보장하고 주거, 상업이 어우러진 지역 활성화 기대 공공을 통한 이주자금지원, 공공임대 확보를 통한 주거세입자의 생활안정 도모 임시상가 및 공공임대상가 계획으로 상가 세입자를 위한 순환형 상가 개발을 추진하여 젠트리피케이션을 방지하는 상가 재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 |
||
|
||
사업계획도 |
||
|
8. 대구광역시 중구 도시재생인정사업 계획(안) |
사업개요 |
||
위 치: 사업비: 내 용: |
대구광역시 중구 수창동 29-1 일원(3,917.5㎡) 467억원(’20~’22년) *국비 50, 지방비 121, 주택도시기금 296 대상지는 대구 대표 원도심에도 불구하고 오래된 공구 상가 및 영세한 제조업 등이 밀집한 쇠퇴지역으로 낙후지 이미지 개선, 청년인구 유입, 파급효과 확산 등 도시재생 활성화를 선도하기 위한 핵심(거점)사업이 필요 원도심 쇠퇴지역 내 장기간 방치된 공공건축물 부지를 공공시설(글로벌플라자, 청년공간, 공영주차장), 행복기숙사 등 복합시설로 건립하여 청년인구 유입, 글로벌도시 기반 구축, 원도심 토지이용률 제고, 도시재생 활성화 기여 |
|
|
||
단위사업 |
||
거점사업(인정사업):
행복기숙사(연계사업):
|
글로벌플라자, 청년공간, 공공주차장(30면) 건립
수용인원 1,000명(대구 및 인근 도시 대학생) 규모 기숙사, |
|
|
||
기대효과 |
||
대구 및 인근 도시 기숙사 수용율 증가 및 대학생 주거 불안 완화, 학령인구 급감으로 인한 지방대학 위기 극복 청년활동 지원, 청년실업 해소, 글로벌 문화교류를 통해 청년 유출 방지,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낙후된 원도심 환경개선, 상권·관광 활성화 등 대상지 주변 일대의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선도적 역할 기대 |
||
|
||
사업계획도 |
||
|
||
|
9.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 도시재생인정사업 계획(안) |
사업개요 |
||
위 치: 사업비: 내 용: |
경기도 부천시 성오로 39외 1필지(4,747.3㎡) 316억원(’20~’24년) *국비 35, 지방비 23, 공기업 40, 기금 156, 기타 62 대상지는 성곡동행정복지센터 인근으로 소규모 가로주택정비사업 추진중인 지역이며 주차장 수급률이 현저히 낮은 지역 주거환경이 열악하고 주차장이 부족한 원도심 지역에 민간의 가로주택정비사업과 연계한 공영주차장을 복합조성하여 주거환경개선 |
|
|
||
단위사업 |
||
공영주차장 조성:
|
가로주택정비사업 연계하여 공영주차장(마을주차장) 복합조성 ※ 전체 주차면수 226면중 85면 공영주차장 조성 |
|
|
||
기대효과 |
||
민간의 가로주택정비사업과 연계한 공영주차장 조성으로 민·관 협력체계 구축 기초생활인프라(주차시설) 확충을 통한 생활환경 개선으로 원도심 지역주민 주차불편 해소 및 보행안전 향상 주민공동시설 설치 등을 통한 주민 커뮤니티 활성화 |
||
|
||
사업계획도 |
||
|
||
|
10. 경기도 성남시 도시재생인정사업 계획(안) |
사업개요 |
||
위 치: 사업비: 내 용: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252-1 일원(13,563㎡) 2,496억원(’20~’22년) *국비 50, 지방비 70, 공기업 233, 기금 1,376, 기타 767 성남산단 재생사업의 거점 복합산업공간 내에 근로자 지원시설(복지, 창업지원 등) 조성 |
|
|
||
사업내용 |
||
근로자종합복지관:
|
성남산단 활성화구역과 연계한 근로자종합복지관 이전사업
|
|
|
||
기대효과 |
||
창의적 고급인재의 신규유입으로 산단 및 지역(구도심)의 활성화에 기여 신성장산업 및 업무지원시설 도입으로 산단 경쟁력 강화 및 지역의 커뮤니티센터 역할 노후 산단 활성화를 뛰어넘어 구도심 재생과 성남시의 도시 경쟁력 강화까지 연계되는 선도 프로젝트 첨단 혁신기술 기업의 전략적 유치와 복합시설(지원시설 및 행복주택) 등을 도입하여 성남하이테크밸리 전체로 확산 및 낙수효과(Trickle-Down Effect) 기대 |
||
|
||
사업계획도 |
||
|
||
|
11. 충청북도 제천시 도시재생인정사업 계획(안) |
사업개요 |
||
위 치: 사업비: 내 용: |
충청북도 제천시 영천동 525-1번지 등 13필지 일원(3,950㎡) 96억원(’20~’22년) *국비 42, 지방비 28, 부처협업 26 제천 원도심의 중심지인 제천역 일대는 배후소비도시의 기능인 상권 중심지 기능이 소멸되면서 인구감소, 상권 침체 등 지역 쇠퇴가 심화되고 있어 지역 활성화를 선도하기 위한 핵심 사업 필요 지역 내 부족한 기초생활인프라 시설을 보완하고 도심권 공공서비스 확충을 위한 앵커시설을 도입해 지역주민은 물론 외부 방문객들의 집객력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 활성화 기여 |
|
|
||
단위사업 |
||
도시재생시민마당 한방-웰페어센터 한방달빛정원 외 부처협업사업 |
도심공공서비스 거점(행정서비스, 종합홍보관, 복합문화공간 등) 노인돌봄특화 서비스(치매예방센터, 한방치유실 등) 커뮤니티 거점시설 및 주차장 등 보행환경 개선 사업 추진 지역관광협업센터 및 사회적경제비즈니스센터 운영 |
|
|
||
기대효과 |
||
한방인프라+공공서비스+관광지원 등 도심 앵커시설 기반의 중심지 기능 확보 다목적형 방문거점 공간 구축을 통한 유동인구 도심권 유입 등 집객력 강화 주민생활환경 및 복지환경 개선으로 지역주민 삶의 질 제고 |
||
|
||
사업계획도 |
||
|
||
|
12. 충청북도 증평군 도시재생인정사업 계획(안) |
사업개요 |
||
위 치: 사업비: 내 용: |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창동리 544, 557번지(2,000㎡) 96억원(’20~’22년) *국비 39.6, 지방비 26.4, 공기업(LH) 30.0 쇠퇴한 도심의 저층 주거지 중심부에 27년간 공사 중단·방치된 개나리아파트(8층, 90%조성) 철거 후 ‘어울림 센터(LH행복주택 포함)’를 조성하여 지역경관 및 정주여건 개선, 지역공동체 활성화 도모 |
|
|
||
단위사업 |
||
창동 개나리 어울림센터 :
LH행복주택 :
|
(1~2층)어울림센터 조성 [노인교실, 작은도서관, 노인 · 아이 돌봄센터(방과후돌봄시설 연계), 현장지원센터 설치] →(S/W)공동체활성화 프로그램 [사회적경제 및 직무역량 교육, 어울림 프로그램(프리마켓, 문화 · 노인 교실)] 운영 등] (3~6층)행복주택 32호 공급 [44㎡: 신혼부부 8호 / 26㎡: 청년, 고령자, 취약계층 24호] |
|
|
||
기대효과 |
||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개나리아파트) 철거 및 어울림센터 조성에 따른 창동리지역 전반의 경관 향상 및 부족한 생활SOC 공급을 통한 정주여건 개선 LH행복주택 조성 및 입주에 따른 지역 정주인구 증가(약40명), 시설조성에 따른 공동체 거점조성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및 도시재생사업 확대를 위한 동력 확보 |
||
|
||
사업계획도 |
||
|
||
|
13. 전라북도 군산시 도시재생인정사업 계획(안) |
사업개요 |
||
위 치: 사업비: 내 용: |
전라북도 군산시 나운동 790-3,791-5번지 90억원(’20~’22년) *국비 50, 지방비 33, 자체지방비7 ·‘13년 군산예술의전당 개관으로 기능이 상실되어 장기간 방치된 군산시민문화회관을 지역대학과 지역예술인이 함께하는 문화예술거점시설로 조성 - 호원대 문화예술학부(실용음악,미디어,k-pop) 등 지역대학이 가지고 있는 우수 자원을 공공과 결합시켜 수도권 중심의 대중문화예술을 지역으로 확산하고 지역소비촉진, 상권 활성화 유도 ·故 김중업 건축가의 유작으로서 갖는 건축학적,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하고 스토리텔링화하여 지역 활력의 거점 역할 기능 부여 |
|
|
||
단위사업 |
||
거점사업: 문화프로그램 지원:
|
·시민문화회관 리모델링, 야외공원·주차장 시설 개선 등 ·지역대학,예술단체로 구성된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을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다양한 계층의 시민참여·기획 공연프로그램 공모사업 지원 |
|
|
||
기대효과 |
||
故김중업 건축가 유작이라는 가치를 재조명하여 새로운 건축문화의 모델 정립 지역대학의 우수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청소년의 꿈과 희망의 메카로 조성 유휴 공공건축물의 기능회복으로 주변상권활성화, 연관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 |
||
|
||
사업계획도 |
||
|
||
|
14. 전라북도 부안군 도시재생인정사업 계획(안) |
사업개요 |
||
위 치: 사업비: 내 용: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봉덕리 574-13번지 일원(1,365㎡) 118.6억원(’20~’22년) *국비 45, 지방비 30, 자체지방비 43.6 복합커뮤니티센터를 조성하여 원도심 상권활성화와 생활SOC확보 |
|
|
||
단위사업 |
||
복합커뮤니티센터 : |
1F : 상생협력상가(관광안내데스크, 상생협력상가, 에프터잼버리, 실내광장) 2F : 육아종합지원센터(장난감도서관, 어린이도서관, 유아놀이터, 작은영화관) 3F : 복합문화시설(여성문화회관, 작은도서관+북카페, 소공연장) 4F : 청소년 활동시설(사진, 댄스, 노래, 만화 등 청소년 동아리 활동공간) 옥상 : 야외공연장(옥상카페, 파티장, 야외공연장) 외부 : 주차장(25대) |
|
|
||
기대효과 |
||
다양한 주민과 맞벌이 부부, 청소년 등 생활 체감형 시설 도입으로 주민편의 충족 및 삶의 만족도 향상 로컬푸드와 연계한 지역내 선순환구조 구축을 통한 상권활성화 도시경쟁력 강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주민의 자생적 성장 기반 마련 |
||
|
||
사업계획도 |
||
|
||
|
15. 전라북도 전주시 다가동 도시재생인정사업 |
사업개요 |
||
위 치: 사업비: 내 용: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다가동4가 25 일원(약610㎡) 20억원(’20~’23년) *국비 10.2 지방비 6.8 자체지방비 3 주택재개발예정구역의 지정 및 해지로 빈집이 밀집된 지역에 노외주차장과 생활SOC를 동시에 공급해 삶의 질 향상 노외주차장과 연결된 골목길을 안전골목길로 가꾸어 기초생활 인프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주민의 안전을 제고 빈집밀집지역에 생활SOC 거점을 조성해 블록 전체의 재생 도모 |
|
|
||
단위사업 |
||
다가서당 건립 |
마을카페, 마을회관(경로당), 공유부엌, 마을도서관 |
|
노외주차장 조성 |
노외주차장 24면 |
|
별빛이 있는 골목길 가꾸기 |
소로3-1 개설(지자체 사업 3억원) |
|
|
||
기대효과 |
||
주민 거점시설 (다가서당)을 통해 기초생활인프라를 제공하여 주민간의 소통과 삶의 질 향상 고령인구와 1인가구의 커뮤니티 케어를 통한 거주만족도 상승 소방도로 개통 및 별빛거리 조성을 통해 보행안전 확보 및 범죄율 감소 빈집의 철거를 통한 주거지 활성화 |
||
|
||
사업계획도 |
||
|
||
|
16. 전라남도 강진군 도시재생 인정사업 계획(안) |
사업개요 |
||
위 치: 사업비: 내 용: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서성리 71일원(4,459㎡) 75억원(’20~’21년) *국비 45, 지방비 30 도시재생 활성화 구역 밖이지만, 2개소의 학교가 인접하고 아파트 과밀지역인 서성리 일원 도보권에 공원, 체육, 여가증진을 위한 ‘맘 편한 센터’ 조성 생애주기 맞춤형(영·유아, 여성, 청소년, 장년) 공간을 구성하고 장애없는 |
|
|
||
단위사업 |
||
야외 놀이공간 여성&아동 친화공간 청소년 친화공간 가족&고령자 친화공간 공용주차장 |
어린이 공원 및 체육시설 창의적인 실내놀이터와 ‘쉼’과 ‘돌봄’ 기능이 있는 공간 다목적 실내강당과 청소년 동아리 이용 공간 일상 생활을 건강하고 풍요롭게 영위 할 수 있는 시설 시설 이용자와 인근 주민이 이용하는 열린 주차장 |
|
|
||
기대효과 |
||
생애 주기 맞춤형 생활체육·여가시설 조성으로 생활 SOC 확충 세대간 통합 및 건강하고 즐거운 삶 영위 특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맞춤형 일자리 창출 |
||
|
||
사업계획도 |
||
|
||
|
17. 전라남도 진도군 도시재생인정사업 계획(안) |
사업개요 |
||
위 치: 사업비: 내 용: |
전남 진도군 진도읍 쌍정리 18번지 일원(1,272㎡) 64.5억원(’20~’22년) *국비 38.5, 지방비 25.6, 자체 지방비 0.4 진도대교 개통으로 인한 육지화, 1차 산업에 집중된 산업 구조 등의 외부적 요인과 행정시설의 신도심 이전, 신규 주거지의 외각 형성 등의 내부적 요인으로 인한 구도심 쇠퇴가 심화되어 이에 따른 재생의 필요성이 시급함 이에 도시재생을 위한 거점시설을 조성하여 뉴딜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기반을 마련하고 주민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함으로써 도시 활력을 회복하고 주거복지를 향상하며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함 |
|
|
||
단위사업 |
||
거점사업: 도시재생지원센터: 희망working센터: 도시재생아카데미: 문화예술아카데미: |
옥주골 어울림센터 조성(지하 1층, 지상 3층) 도시재생사업의 확산과 활성화를 위한 체계 마련 구인·구직 등의 일자리 중계 및 관련 전문 교육 실시 도시재생아카데미 운영 등 주민 역량강화 교육 진도군 내 문화예술 자원을 활용하여 문화 소외계층의 참여기회 확대 |
|
|
||
기대효과 |
||
유동인구 증가 및 교통 혼잡도 완화 등으로 도시 활력 회복 문화 생활 영위 및 주민 삶의 질 개선으로 주거복지 향상 사회적 경제 공동체 육성 및 일자리 지원으로 일자리 창출 |
||
|
||
사업계획도 |
||
|
||
|
18. 경상북도 군위군 도시재생인정사업 계획(안) |
사업개요 |
||
위 치: 사업비: 내 용: |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동부리 324-4번지 일원 106억원(’20~’22년) *국비 50, 지방비 33, 기타 23 자체 추진계획(군위읍사무소 신축)과 생활SOC 사업을 연계하여 지역 사회의 행정·복지 복합공간 마련을 통한 군위군 도시재생활성화 핵심 앵커시설 마련 |
|
|
||
단위사업 |
||
거점사업: 군위 행정복지센터: 군위 행복가족센터:
어울림 사회경제센터:
스마트 건강문화센터: |
군위읍사무소 신축(군위읍 복합앵커공간 조성) 1층, 기존 행정기능 및 노후시설 개선을 통한 읍사무소 조성 2~3층, 다가온, 공동육아나눔터, 북카페(작은 도서관), 돌봄 센터, 교육실, 다목적홀, 다문화가족센터 사무실 등 4층, 도시재생지원센터, 창업지원·실버인재·여성일자리지원센터, 마을관리협동조합 4층, 스마트건강팩토리, 준비실 등 |
|
|
||
기대효과 |
||
생활SOC 공급을 통한 주민생활환경 개선 지역 다문화, 여성, 노인, 어린이를 위한 거점공간 마련 고용인원 117명, 일자리창출 18명, 마을기업양성 6개, 다양한 주민복지프로그램 상시운영 |
||
|
||
사업계획도 |
||
|
||
|
'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rk) 뉴딜공모, 부지확보 세부 배점 기준 (0) | 2021.04.05 |
---|---|
Work) 도시재생뉴딜공모 2021년 사업신청 가이드라인 (0) | 2021.02.22 |
Work) 도시재생뉴딜공모 2020년 사업신청 가이드라인(1월) (0) | 2021.02.22 |
Work) 도시재생뉴딜공모 2019년 하반기 사업신청 가이드라인 (0) | 2021.02.22 |
Work) 한글 단축키 (0) | 2021.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