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 23년 12월 1일 업무

중화1동
 - 공람문 - 새로작성
 - 공람도서 (토지조서, 건축물조서) - 이면부 도로 및 획지 변경 반영 필요 (다음주 월요일)

 > 채현정 주무관 : 조치계획 일부 문구 수정
 - 심의자료 (다음주 월요일) 층수(32층), 현황순서, 토지이용계획( 등 조정
 - 주민설명회 PT 자료로 전환 (다음주 월요일)

 - 다시 보내줘야함

면목본동
 - 사전자문자료 : 슈퍼블록 내 교통현황. 공동이용시설, 일부 수정사항
 - 연접지단
 - 공공보행통로
 - 면목로 도로 확폭 방법

면목3.8동
 - 공공보행통로
 - 역세권 요건 미부합 / 가로주택과 소규모재개발과의 차이 미미
 - 조감도


서울시
 - 3개구역 토지 세부현황 (발송 완료)
 - 세대수 세부현황 (다음주 월요일)


LHRI
 - 중간보고 자료
 - (문의) 보고장소, 출력부수, 준비물(출력물만 가져가면 되는 것인지)



신진이앤씨 (발송 완료)
 - 중화1동 교통 관련 확인 
 - 통화완료

반응형

 

Work) '14.06 국토부, 도시계획 5년 변경제한 폐지

 

국토교통부는 도시관리계획이나 지구단위계획 변경 제한기간(5년)을 폐지하는 내용의 '도시관리계획수립지침'과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 일부 개정안을 오는 20일부터 20일간 행정예고 한다.

현행 도시관리계획이나, 지구단위계획은 결정 이후 5년간 변경할 수 없다. 이로 사업 여건 변화로 개발이 지연되거나, 적정용도로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발생했다.

국토부는 5년 이내 변경할 수 없도록 한 규정을 폐지하고 수시로 계획을 변경할 수 있도록 했다.

지구단위계획을 마련할 때 진입도로와 지구 내 도로 폭 규제도 완화된다. 진입도로는 구역면적에 따라 도로폭을 8~15m까지 차등 확보해야 했던 것에서 최소 8m 이상이면 되도록 했다.

구체적인 규모는 교통성 검토와 도시건축 공동위원회 심의를 통해서 결정된다. 지구 내 도로 폭도 6~8m에서 교통성 검토 및 공동위원회 심의로 결정토록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도로폭 규제를 완화하면 도로를 지역실정 및 개발여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건설할 수 있어 기업의 비용이 크게 감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rk) 1월 11일 업무  (0) 2024.01.11
Work) 23년 12월 1일 업무  (0) 2024.01.11
Work) 한글의 취소선(삭선) 단축키  (1) 2023.12.11
Work) 정북일조 제한 예외사항  (2) 2023.11.27
Work) FGI(Focus Group Interview)  (0) 2023.11.27

 

Work) 한글의 취소선(삭선) 단축키

 

★ ALT + L에 취소선 E, 설정 D를 눌러주면 취소선을 넣을 수 있습니다. ★ 

 

여기서 비법!

ALT를 떼지 않고 ALT + L,E,D를 해주면 단축키처럼 빠르게 취소선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월배당 ETF

 

 

TSLY

CONY 

AMDY

JEPY

JEPI

QQQY

반응형

 

Work) 정북일조 제한 예외사항

건축법 시행령 제86조

일조 등의 확보를 위한 건축물의 높이 제한(정북 방향의 일조 사선제한)

제2항의 경우에는 제1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제2항의 제1호에 따라 지구단위계획구역 (또는?) 경관지구 안에 대지 상호간에 건축하는 건축물로서 해당 대지가 너비 20미터 이상의 도로(자동차, 보행자, 자전거 전용도로를 포함하며, 도로에 공공공지, 녹지, 광장, 그 밖에 건축미관에 지장이 없는 도시·군계획시설이 접한 경우 해당 시설을 포함한다)에 접한 경우

 

반응형

 

Work) FGI(Focus Group Interview)

 

포커스 그룹 인터뷰

 

소규모 특정 집단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심도있는 설문을 시행하는 방법

 

경기도 FGI 예시

 

 

반응형

'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rk) 한글의 취소선(삭선) 단축키  (1) 2023.12.11
Work) 정북일조 제한 예외사항  (2) 2023.11.27
Work) 도시와 촌락의 구분  (0) 2023.11.22
Work) 아파트 바닥 구조 분류  (1) 2023.10.30
Work) 전략정비구역  (0) 2023.10.30

 

Work) 도시와 촌락의 구분

 

촌락과 도시를 구분하는 기준촌락과 도시를 구분하는 기준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첫째, 촌락과 도시를 인구 규모로 구별합니다.
인구가 많고 인구 밀도가 높은 취락을 도시라고 부르고, 그렇지 못한 취락을 촌락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촌락과 도시를 나누는 인구의 기준은 나라마다 다릅니다. 
인구 밀도가 낮은 북유럽 국가들은 인구 수백 명 이상만 되어도 도시로 규정하지만(노르웨이 200명 이상, 네덜란드 2000명 이상), 인구 밀도가 높은 한국이나 일본 등에서는 인구가 5만 명 이상인 지역을 도시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러 국가의 도시설정 기준(출처: 에듀넷)


둘째, 촌락과 도시를 행정구역으로 구별합니다. 
우리나라의 행정구역은 현재 특별시, 광역시, 도, 시, 군, 구, 읍, 면, 동, 리로 나뉘어져 있는데요. 
(面) 단위 지역은 촌락으로, (邑, 인구 2만 이상)과 (市, 인구 5만 이상) 단위 지역은 도시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셋째, 촌락과 도시를 주민들의 경제 활동으로 구별합니다. 
전통적으로 촌락 지역의 주민들은 농업, 임업, 어업, 목축업과 같은 1차 산업을 하면서 살아가는 반면 도시 지역은 제조업, 서비스업 등 2·3차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넷째, 촌락과 도시를 경관과 토지 이용으로 구별합니다. 
도시의 중심지에서는 높은 건물들이 연속적으로 그리고 빽빽하게 들어서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좁은 면적의 땅에 많은 사람이 살고 있기 때문에 건물을 높게 세워 토지를 집약적으로 이용하는 것이지요, 
이와 대조적으로 촌락 지역에서는 비어있는 땅이나 낮은 건물이 많고 논, 밭 등의 자연적인 풍경을 많이 볼 수 있답니다. 


 

촌락과 도시의 상호의존관계

 

 

출처: 에듀넷

반응형

 

특별보금자리론

 

대출가능금액

 

대출금리

 

대출기한

 

조기상환수수료

 

대출신청 필요서류

 

대출실행기관

반응형

+ Recent posts